티스토리 뷰

개발/Linux

크론탭(crontab)

시크시크시크 2017. 2. 14. 16:12

리눅스 기반에 운영체제에서 일정주기로 실행시키기위해 오늘은 크론탭을 등록해봤다.

크론탭이란?

소프트웨어 유틸리티 Cron은 유닉스 계열 컴퓨터 운영 체제의 시간 기반 잡 스케줄러이다. 소프트웨어 환경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작업을 고정된 시간, 날짜, 간격에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해 cron을 사용한다.

 

명령어로는

crontab -l  : 등록된 크론탬의 리스트를 보여준다

crontab -e : 크로탭을 등록하거나 등록되어 있는 작업을 수정할 수 있다.

 

사용자를 위한 구성 파일은 crontab -e를 호출하여 편집할 수 있다.

이 파일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:

 #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min (0 - 59) 
 # │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hour (0 - 23)
 # │ │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day of month (1 - 31)
 # │ │ │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month (1 - 12)
 # │ │ │ │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day of week (0 - 6) (0 to 6 are Sunday to Saturday, or use names; 7 is Sunday, the same as 0)
 # │ │ │ │ │
 # │ │ │ │ │
 # * * * * *  command to execute

 

예제

다음은 cron 사용자의 기본 셸이 본 셸 호환이라는 가정 하에 매일 자정 이후 1분 째에 아파치 오류 로그를 삭제한다.

1 0 * * *  printf > /var/log/apache/error_log

아래의 예는 매일 20시 (오후 8시)에 export_dump.sh라는 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.

0 20 * * * /home/oracle/scripts/export_dump.sh

 

출처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Cron